회수 |
발표일 |
장소 |
발표자 |
주 제 |
|||
1 |
1985. 2. 17 |
단국대 |
한 기 언 |
현대일본교육철학의 이해 |
|||
2 |
1985. 4. 20 |
단국대 |
김 도 수 |
전후 일본의 사회교육의 전개과정 |
|||
박 래 봉 |
일본의 발전과 교육 |
||||||
3 |
1985. 6. 25 |
단국대 |
안 기 성 |
일본의 민주주의 교육제도 수용과정에 대한 교육정치학적 고찰 |
|||
4 |
1985. 8. 24 |
단국대 |
김 도 수 |
대학교육에서의 교양교육 |
|||
5 |
1985. 10.27 |
단국대 |
김 남 성 |
주관적으로 본 일본인 |
|||
김 정 일 |
한·일 사회체육 비교연구 |
||||||
6 |
1985. 12. 28 |
단국대 |
김 용 숙 |
한일 고교교육의 비교연구 |
|||
7 |
1986. 2. 27 |
단국대 |
한 기 언 |
교육철학의 한.일 비교연구 |
|||
8 |
1986. 6. 14 |
단국대 |
안 기 성 |
일본교육 관례에 대하여 |
|||
박 래 봉 |
최근 일본 교육개혁의 동향 |
||||||
9 |
1987. 2. 24 |
단국대 |
김 용 숙 |
일본의 고도경제 성장기(1955~70)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|
|||
10 |
1987. 6. 25 |
단국대 |
안 기 성 |
일본의 헌법과 교육 |
|||
11 |
1987. 12 11 |
단국대 |
안 기 성 |
일본의 헌법과 교육 |
|||
12 |
1988. 2. 25 |
단국대 |
박 래 봉 |
히로이께 지구로우 교육사상 |
|||
13 |
1988. 5. 14 |
단국대 |
김 용 숙 |
한국에서의 일본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|
|||
김 도 수 |
일본교육학연구회 활동의 활성화 방안논의 |
||||||
14 |
1988. 10. 14 |
단국대 |
하기학술 |
일본문화 개방에 따른 우리의 시작 |
|||
15 |
1988. 12. 16 |
단국대 |
정 금 자 |
일본에 있어서의 몬테소리 교육이론의 수용에 관한 연구 |
|||
16 |
1989. 4. 29 |
단국대 |
김 도 수 |
일본의 원격 교육에 관하여 |
|||
홍 현 길 |
도덕교육 기초에 관한 하나의 시도 |
||||||
17 |
1989. 6. 17 |
고려대 |
황 순 희 |
Habitus에 의한 학교생활에의 적응 과정 |
|||
18 |
1989. 8. 26 |
서울교대 |
홍 현 길 |
1989년도 초중학교 도덕교과서에 관하여 |
|||
19 |
1989. 11. 4 |
서울교대 |
한 기 언 |
무라이 미노루에 대한 연구 |
|||
김 용 숙 |
일본 초등 교원 양성제도에 관한 분석 |
||||||
20 |
1989. 12. 2 |
고려대 |
홍 현 길 |
일본 도덕교육에 관하여 |
|||
정 금 자 |
일본 유아교육에 관하여 |
||||||
21 |
1990. 2. 3 |
서울교대 |
안 기 성 |
일본교육기본법 제정과정 - 헌법 중심으로 |
|||
22 |
1990. 4. 7 |
서울교대 |
김 용 숙 |
국민학교에 있어서 통합교과 운영상의 제 문제 |
|||
23 |
1990. 5. 10 |
단국대 |
河村正彦 |
「일본의 교육직원 면허법」개정과 교원양성 |
|||
24 |
1990. 11. 10 |
서울교대 |
김 도 수 |
사회교육 행정원리와 발전과제 |
|||
25 |
1991. 3. 16 |
서울교대 |
안 기 성 |
외국식민지 법제에 관하여 |
|||
홍 현 길 |
일본인의 도덕적사고론에 관하여 |
||||||
26 |
1991. 4. 6 |
서울교대 |
홍 현 길 |
와지루 테쯔오의 일본일론 |
|||
27 |
1991. 6. 1 |
서울교대 |
남 만 순 |
전후 일본의 교원단체 대한 연구 |
|||
29 |
1991. 12. 7 |
서울교대 |
한 기 언 |
平塚益德의 교육철학 |
|||
안 기 성 |
일본의 교원양성제도와 교수연구 제 문제 |
||||||
30 |
1992. 2. 29 |
서울교대 |
김 용 숙 |
일본 현직교원의 장기연수제도에 관한 고찰 |
|||
31 |
1992. 4. 4 |
서울교대 |
홍 현 길 |
중촌 원의 일본인론 |
|||
32 |
1992. 11. 7 |
서울교대 |
遠藤昭彦 |
일본에 있어서 도덕교육의 과제 |
|||
33 |
1992. 12. 5 |
서울교대 |
남 만 순 |
일본의 교육개혁과 교원양성제도(1) |
|||
34 |
1993. 4. 3 |
서울교대 |
남 만 순 |
일본의 교육개혁과 교원양성제도(2) |
|||
35 |
1993. 7. 3 |
합천 해인사 |
이 성 한 |
현대사회와 부모교육의 방법론 |
|||
김 세 곤 |
인지방략훈련 프로그램에 의한 학업부진아의 학업달성 개선과 그 변화 |
||||||
36 |
1993. 8. 28 |
서울교대 |
황 순 희 |
상징전략에 의한 학교문화재 생산과정 - S고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- |
|||
37 |
1994. 2. 5 |
예 솔 |
정 금 자 |
일본의 영.유아 보육현황과 특성 |
|||
38 |
1994. 4. 16 |
예 솔 |
한 인 옥 |
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(1) |
|||
39 |
1994. 7. 2 |
예 솔 |
현 정 환 |
유아의 self-efficacy에 관한 발달적 연구 |
|||
40 |
1994. 11. 5 |
예 솔 |
남 경 희 |
일본의 사회과에 있어서의 소비자 교육에 관한 연구 - 「소비자주권」에 기초한 소비자 의사결정 학습의 구상- |
|||
41 |
1994. 12. 3 |
예 솔 |
임 창 호 |
시노하라 스케이치의 슐라이에르마허의 교육학 수용에 관한 고찰 - 시노하라의 조성개념을 중심하여 - |
|||
42 |
1995. 2. 4 |
예 솔 |
한 기 언 |
나의 일본 교육 철학 연구 |
|||
43 |
1995. 4. 1 |
예 솔 |
홍 현 길 |
河干九郎의 모랄로지에 관한 일 연구 |
|||
44 |
1995. 6. 10 |
예 솔 |
후지가와 |
‘기’ 개념에 의한 교육학 논의의 틀 수정에 관하여 |
|||
45 |
1995. 10. 7 |
경 주 |
임 창 호 |
슐라이에르마허의 사교성 이론에 대한 교육학적 연구 |
|||
백 남 권 |
컴퓨터 이용 과학수업에 대한 선개념의 동기부여 및 학습효과 |
||||||
46 |
1995. 12. 2 |
예 솔 |
한 기 언 |
‘후꾸오카 아시아 문화상’ 수상 기념 강연 |
|||
홍 현 길 |
일본의 전문대학에 관한 연구 - 교육정책 및 운영 방안 중심 - |
||||||
47 |
1996.4.6 |
예솔 |
장 용 희 홍 현 길 |
한국중등교원 양성제도사 연구 등 |
|||
48 |
1996.6.1 |
예솔 |
한기언/안기성/김도수/ 김용숙/홍현길/정금자/김세곤 |
「일본의 교육」공동 집필에 관해 발표 |
|||
49 |
1996.11.2 |
예솔 |
안 기 성 |
일본의 교육법 |
|||
50 |
1996.12.7 |
예솔 |
홍 현 길 |
한일 도덕교육 비교 |
|||
51 |
1997.4.12 |
동국대 |
河村正彦 |
일본에 있어서 교원양성 개혁 |
|||
52 |
1997.6.7 |
한국체대 |
이 면 우 정 광 희 |
한국 근대기의 과학교육 등 |
|||
53 |
1997.12.6 |
서울교대 |
이 명 희 |
콜링우드 역사철학에 기초한 이론 구성 |
|||
54 |
1998.3.7 |
서울교대 |
남 경 희 |
일본초등사회과의 동향 |
|||
55 |
1998.5.2 |
서울교대 |
정 광 희 |
일본의 교육개혁 동향 |
|||
56 |
1998.7.11 |
동국대 |
河村正彦 大庭茂美 백 남 권 이 면 우 |
일본에 있어서 생애 교육 등 |
|||
57 |
1998.9.5 |
서울교대 |
박 원 숙 |
단문 이해에 있어서 조사의 기능과 발달 |
|||
58 |
1998.12.5 |
대전 KIST |
임 재 훈 박 종 석 |
한일학교 수학 용어 비교 등 |
|||
59 |
1999.3.13 |
서울교대 |
남 경 희 이 명 희 |
일본의 중고 일관 교육 등 |
|||
60 |
1999.6.5 |
서울교대 |
송 민 영 |
조선 총독부하의 박물교육 운동 |
|||
61 |
1999.7.3 |
서울교대 |
남 경 희 홍 현 길 |
한일 통합교육과정 비교 등 |
|||
62 |
1999.8.7 |
서울교대 |
장 용 희 |
일본의 특별 활동 운영 |
|||
63 |
1999.9.3 |
서울교대 |
財律順一 井上和幸 河村正彦 |
일본의 보육자 양성 교육 등 |
|||
1999.9.4 |
서울교대 |
정 영 근 이 명 희 홍 후 조 |
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등 |
||||
64 |
1999.10.2 |
서울교대 |
정 금 자 김 세 곤 현 정 환 |
한일 신 유아교육과정 비교 등 |
|||
65 |
2000.1.28 |
수안보 상록호텔 |
남 경 희 송 민 영 |
일본에서 홀리스틱 교육 동향 등 |
|||
66 |
2000.3.11 |
서울교대 |
공 병 호 |
대학의 다양화․특성화 정책 재고 |
|||
67 |
2000.6.10 |
서울교대 |
장 용 희 |
현대 일본교원양성론의 검토 |
|||
68 |
2000.8.19 |
단국대(천안) |
이명희/ 남경희/ 송민영/ 정영근/ 공병호/ 이면우 |
일본사회과 교육의 목표체계 등 |
|||
69 |
2001.2.3 |
중앙대 |
남 경 희 홍 현 길 河村正彦 |
천황제와 전후 일본의 교육 등 |
|||
70 |
2001.3.24 |
서울교대 |
김 재 영 전 호 윤 |
글로벌 교육을 위한 초등사회과 커리큘럼 등 |
|||
71 |
2001.7.14 |
서울교대 |
공 병 호 |
일본의 열린교육 전개에 관한 사적 고찰 |
|||
72 |
2001.8.18 |
경북대 |
河村正彦 김 세 곤 |
일본에 있어서 보육사의 양성 등 |
|||
73 |
2001.9.8 |
서울교대 |
장 용 희 정 진 곤 강 환 국 |
한국의 초등교원정책 등 |
|||
74 |
2001.10.20 |
서울교대 |
정 금 자 현 정 환 김 세 곤 |
한국 유치원 교원자격 등 |
|||
75 |
2002.2.2 |
성균관대 |
송 민 영 |
통합교육과정이론과 교과통합의 방법 |
|||
76 |
2002.3.22 |
서울교대 |
남 경 희 |
일본의 교육개혁 |
|||
77 |
2002.5.11 |
서울교대 |
남 경 희 |
일본 교육개혁에서 살아가는 힘 |
|||
78 |
2002.11.16 |
서울교대 |
송 민 영 이 명 희 |
일본인 교사들의 통합교과적 교육실천 등 |
|||
79 |
2003.1.18 |
서울교대 |
이 명 희 |
일본인 교사의 역사교육 실천 |
|||
80 |
2003.5.10 |
국립공주대 |
이 명 희 남 경 희 김 세 곤 |
일본 교직원조합을 둘러싼 갈등해소 등 |
|||
81 |
2003.6.21 |
서울교대 |
이 정 규 공 병 호 김 세 곤 |
한국 영재 교육의 현황과 전망 등 |
|||
82 |
2003.8.15 |
서울교대 |
김진숙/남경희/박균섭/기쿠찌마사키/ 이명희/김세곤 |
고도성장기 이후 일본인의 학력의식 변화 등 |
|||
83 |
2003.10.18 |
춘천교대 |
홍현길/이면우/김보림/임길선/임형연/ 김기용 |
현대교육의 몇 가지 쟁점 등 |
|||
84 |
2004.1.10 |
서울교대 |
홍현길/이명희/김보림/기쿠찌마사키 |
일제 식민지 후기 수신교육 내용 등 |
|||
85 |
2004.2.7 |
성신여대 |
김보림/박균섭/김세곤/加澤恒雄/河村正彦/공병호/홍두길/송민영/大口政樹/김보림/ 이명희 |
조선총독부의 언어정책 등 |
|||
86 |
2004.4.24 |
서울교대 |
홍현길/최순자 |
일본에서의 유아기 사회 도덕성 발달연구 등 |
|||
87 |
2004.7.10 |
동서대 |
김보림/김세곤/송민영/이정규/김진숙/ 최순자/현정환/공병호 |
막말에 있어서 일본과 서양의 문화교류 등 |
|||
88 |
2004.11.6 |
건국대 |
남경희/현정환/김세곤/김보림/공병호 |
21세기 일본의 교육개혁 |
|||
89 |
2005.1.11 |
서울교대 |
홍현길 |
히로이케 치쿠로의 모다로지 |
|||
90 |
2005.2.19 |
고려대 |
대택유/박월황/谷田具公昭/김행완/ 加澤恒雄/현정환/공두길/박균섭/이명희 김세곤 |
아동들의 생활습관에 관한 조사연구 등 |
|||
91 |
2006.11.25 |
교육과정 평가원 |
김성숙/하경표/윤종혁/송민영/이정규 김진숙/정영근/김보림/이명실/홍현길/ 남경희/이면우/박균섭/공병호/김세곤/ 최순자/이선옥/김영희/현정환/이성한 |
교원평가에 관한 한일국제 심포지엄 |
|||
92 |
2007.12.1 |
교육과정 평가원 |
김세곤/공병호/하경표/정영근/최숙자/ 이성한/정금자/이선옥/김성숙/강홍재/ 김보림/김현숙/홍현길/박균섭/송민영/ 신지원 |
일본의 교육과정 |
|||
93 |
2008.5.31 |
서울교대 |
홍현길/장용희/김세곤/김수동/ 윤희봉/ 김득영/남경희/김보림/정영근 |
한국의 교육개혁 |
|||
94 |
2008.11.29 |
교육과정 평가원 |
이정규/김보림/최순자/김수동/김영희/ 강홍재/공병호/하경표/정영근/김득영/ 천호성/윤희봉 |
일본의 교육행정체제 탐색 |
|||
95 |
2009.5.23 |
서울교대 |
남경희/박균섭/천호성/강홍재/윤희봉/ 공병호/최순자/하경표 |
일본의 교육개혁 방향과 논쟁점 |
|||
96 |
2009.11.14 |
서울교대 |
정영근/홍현길/박균섭/천호성/남경희/ 송민영/하경표/根津朋實/강홍재/김은숙/ 윤희봉/공병호/최순자/김영희/이선옥/ 김수동/이면우/이근송/이정규/임형연 |
한일 신교육과정 비교 분석 |
|||
97 |
2010.5.29 |
서울교대 |
하경표/김보림/최순자/공병호/한용진/ 황순희/山口晴敬/임형연/천호성/박균섭/ 남경희/김세곤 |
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론 탐색 |
|||
98 |
2010.11.27 |
서울교대 |
김수동/남경희/이성한/水野千鶴/ 고전/木岡一明/구자억/오현석/공병호/ 정영근/강홍재/이선옥/김세곤/양승현/ 최순자/김영희/천호성/송민영 |
일본의 교육평가의 현황과 전망 |
|||
99 |
2011.11.19 |
서울교대 |
加野芳五/김제상/박금해/공병호/ 김춘화/정영근/박균섭/김보림/남경희/ 최순자/박은미/中坪史典/윤희봉 |
한중일 교사교육 정책현황과 방향의 비교탐색 |
|||
100 |
2012.5.26 |
서울교대 |
공병호/박균섭/장지은/홍현길/정연근/ 한용진/김세곤/이선옥/송민영/박은미/ 김영희/이성한/임형연/水野千鶴/ 남경희/이면우/최순자/정미라 |
일본의 지역교육력 |
|||
101 |
2012.11.3 |
교육과정 평가원 |
정영근/공병호/한용진/김세곤/이선옥/ 박은미/김영희/최순자/박주현/林孝/ 장지은/이성한/남경희/이정희/ 임형연/水野千鶴/송민영/윤희봉/김수동 |
일본의 학교교육지원 ‘지역 교육력’ 전개 |
|||
102 |
2013.6.1 |
서울교대 |
공병호/천호성/水野千鶴/都樂継雄/송민영/장용희/정영근/김수동/강진호/김현숙/ 공병호/한용진/이영호/오현석/남경희/ 김세곤/김영희/이선옥/최순자/박주현/ 박은미/홍현길/윤희봉/하태희 |
일본의 교육 정책 |
|||
103 |
2013.11.9 |
동국대 |
송민영/남경희/천호성/윤희봉/하태희/ 김수동/강진호/홍현길/고전/윤종혁/공병호/한용진/이영호 |
일본의 교육정책 방향과 과제 |
|||
104 |
2014.5.24 |
서울교대 |
정영근/공병호/한용진/김세곤/이선옥/ 박은미/김영희/홍현길/최순자/박주현/ 임효/천호성/남경희/이정희/임형연/ 水野川鶴/송민영/윤희봉/김수동/하태희 |
일본의 학교교육지원 〝지역교육력(地域の教育力)〞』 |
|||
105 |
2014.11.5 |
서울교대 |
정영근/공병호/한용진/최순자/박주현/ 김세곤/이선옥/홍현길/김영희/박은미/ 이성한/武者一弘/남경희/임형연/水野川鶴/송민영/윤희봉/김수동/천호성 |
일본의 학교교육지원 〝지역교육력(地域の教育力)〞』 |
|||
106 |
2015.5.16 |
고려대 |
강진호/황순희/천호성/남경희/임형연/ 平野愛雅 |
한국과 일본의 학업성취도 등 |
|||
107 |
2015. 7.10-11 |
전주교대 |
김수동/권양이/이성한/최순자/천호성 |
외국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등 |
|||
108 |
2015.9.19 |
서울교대 |
홍현길 |
'한기언 박사의 기초주의에 관한 고찰' |
|||
109 |
2015.12.12 |
교육과정평가원 |
남경희/천홍성/이명실/이성한/이정희/ 신현정/한용진/김수동/공병호/정영근/ 송민영 |
일본학교교육에서의 ‘학력(學力)’논쟁과 동향 |
|||
110 |
2016.2.20 |
서울교대 |
신현정 |
교육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개성화교육의 문제점 |
|||
111 |
2016.3.19 |
서울교대 |
윤종혁(KEDI) |
일본의 저출산 고령사회 쟁점과 교육개혁 과제 |
|||
박균섭(경북대): |
식민교육에 이용당한 도읍지: 경주, 부여, 평양 |
||||||
112 |
2016.5.21 |
고려대 운초우선교육관 501호 |
제I부: 초청강연 草野かおる(columnist) 특별발표 金暎根(高麗大글로벌日本硏究院) |
춘계학술대회 災害의 記憶과 社會擴散 : 韓國의 災害文化와 安全敎育에 관한 大學의 役割: |
|||
제II부: 연차학술대회주제 예비발표: 南景熙/孔秉鎬/尹鐘赫/韓龍震/申賢貞/宋珉煐/林炯延/崔順子/鄭榮根/吳民錫/金世坤·李善玉/ ‣ 綜合討論:: 金世坤/金英熺/朴均燮/水野千鶴/玄正煥/洪顯吉 |
주제: 일본의 안전안심교육 - 학술주제 예비발표 10명 - 토론 6명 |
||||||
113 |
2016.8.26 |
가천대 |
초청특강: 辻本雅史(國立臺灣大) 江戸儒学と人文精神 ―テキストの身体化― / 토론: 申昌鎬(高麗大), 申賢貞(中部大) |
韓國日本硏究團體 第5回 國際學術大會(韓國日本學會 93回學術大會) 企劃主題: 基礎主義 觀點에서 본 日本敎育 司會: 崔順子(國際兒童發達敎育硏究院) |
|||
南景熙(서울敎育大) 基礎主義 觀點에서 본 日本의 學校敎育 토론: 千鎬誠 (全州敎大) |
|||||||
洪顯吉(嘉泉大) 基礎主義와 敎育學硏究 - 東洋의 人文精神과 日本硏究를 包含하여 토론: 金秀東(東國大) |
|||||||
韓龍震(高麗大) 基礎主義와 敎育者: 모리 아키라(森昭)를 中心으로 토론: 李裕美(嘉泉大) |
|||||||
114 |
2016.9.24 |
서울교대 |
洪顯吉(嘉泉大) |
나의 日本論 - 韓國은 日本을 정확히 알고 있는가? |
|||
115 |
2016.12.10 |
서울교대 인문관 306호 |
* 특별발표: 武者一弘 * 연차학술대회: 남경희/공병호/윤종혁/水野千鶴/한용진/신현정/송민영/림형연/최순자/정영근/오민석/한현정 ‣ 綜合討論:: 김세곤/김영희/박균섭/이선옥/이근호/이명실/천호성/平野愛雅 |
日本における学校統廢合と地域づくり * 연차학술대회(한국교육과정평가원공동주최) - 주제: 일본의 안전안심교육: 학교・가정・지역을 중심으로 |